원격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서는 반드시 서버를 열어주어 일꾼들을 출근 시켜야 할텐데 어찌 해야 하는지...
임대서버 이든 누군가 집에서 설치를 했던지 최초의 주인장 아이디 는 있을것 이다. 즉 다시말해 주인장은 곧 root 일것 이다. 내아이디 가 곧 root 이자 컴퓨터 그 자체 이고. 그래서 컴퓨터는 자신의 주인이 입장하여 명령을 내리기를 기다린다.
당신 자신 또는 최초 설치자는 당신의 아이디를 세팅해 놓았을것 입니다. 그리고 원격 조종되기로 되어 있다면 SSH Shell Access 가 가능하도록 Open SSH Server 를 설치/설정 해 놓을것 입니다.
우분투 서버 라고 가정한다면 설치 방법은 여기에 -
설치방법 => https://help.ubuntu.com/lts/serverguide/openssh-server.html
SSH 설치 완료후 최초 접속은 ( 리눅스 컴터에서 ) 터미널을 열고 명령을 내린다.
ssh -p22 my-root-id@123.123.123.123
ssh -p포트넘버 내아이디@서버아이피
접속을 하면 이때부터 모든 서버의 프로그램을 설치 가능. 웹서버 뿐 아니라 네임서버 및 메일서버 까지 원하는데로 가능하겠지요.
드루팔 공동 작업을 하면서 서버 까지 sudo 그룹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을지는 작업의 성격에 따라 그리고 직책상 위치가 어떤위치에 있는가 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상식선에서는 어느정도 알고 있는것이 작업자로서 도움이 될것 이고 또한 차후 발전이 있을것 이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